부동산

2023 역세권청년주택 민간/공공임대부문 신청방법 및 지원조건

1% 재테크 공부법 2023. 4. 5. 18:33
반응형

 

 

서울시는 2023.04.12부터 3일동안 역세권청년주택 첫 입주자 모집을 합니다. 역세권청년주택무주택 청년 및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대중교통중심 역세권에 공급하는 입대주택을 의미합니다.   ☞역세권청년주택 안내페이지

 

 

 

 

 

< 역세권 청년주택 지원조건 > 

모집공고일 현재 만19세 이상 만 39세 이하

■ 본인과 부모 합산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가구당 월평균 100%이하 해당자

■ 자동차보유기준 (미소유) : 장애인 차량이나 생업용 차량은 제외

■ 무주택자 

 

 

< 살펴봐야하는 또 다른 조건 >

 혼인요건 : 청년은 미혼 , 신혼부부는 혼인 후 7년 이내 

■ 자산기준 : 청년형은 보인 자산가액이 2억 8,800만원 이하 / 신혼부부형은 부부합산 자산가액이 3억 2,500만원 이하

 

 

 

 

<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방법>

역세권 청년주택은 공공임대 민간임대 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. 주변 시세대비 공공임대는 30~70% 수준이며, 민간임대는 85% 또는 95% 수준이라 임대료를 절약할 수 있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공공임대는 SH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하고 민간임대는 민간사업자 모집공고를 확인해야합니다.

 

 

 

  공공임대부문

SH홈페이지에서 입주자 모집공고 확인 → 청약접수 (SH홈페이지 서류심사 대상자 발표확인 → 서류심사 대상자는 서류제출 (우편) → 당첨자발표 → 계약체결하기  (SH홈페이지 바로가기)

 

 

  민간임대부문

민간사업자 입주자모집공고 확인 → 청약접수(민간사업자접수) → 당첨자발표 → 서류제출 및 계약체결하기

 

온라인 청약을 진행하고 입주자격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된 입주자는 2023년 9월 이후로 입주가능합니다. 이번 모집에는 강동구 성내동 등 서울 5개단지, 총576 가구를 선정할 예정입니다. 역세권 공실 및 모집공고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알려드릴께요.

 

 

 

 

역세권 청년주택 공실 및 공고확인하기

역세권 청년주택 공실 및 공고를 확인하는 방법역세권청년주택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. ☞역세권청년주택 안내페이지 

 

 

먼저, 청년주택찾기-모집공고에 들어가보면 지역구에 따른 구분은 물론 아래처럼 공고리스트가 뜨는데, 여기서 공고일과 공고조건을 자세하게 확인한 뒤 조건이 맞다면 신청하면됩니다. 공고를 눌러서 들어면 더 세부적인 신청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소득기준에 따라 신청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니 꼭 확인하셔야합니다.

 

 

조건만 맞는다면 좋은 조건/ 저렴한 시세로 역세권에 주거지를 마련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 청년/신혼부부라면 꼭 확인해봐야하는 정책입니다. 이러한 정책이 있는지 몰랐던 분들이 계셨다면 이참에 자세히 살펴보시고 나의 조건이 어떤지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. 내 조건을 확인해야 괜찮겠다 싶은 역세권 청년주택 공고가 난다면 신청할 수 있으니깐요!

 

 

 

여기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관련해서 신청방법/ 신청조건 등을 총정리해드렸어요 :) 집을 구하고 있는 모든 청년/신혼부부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글을 마치겠습니다.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