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린이에게는 너무 어려운 부동산세계! 대출을 받아야하는데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지하는 용어들이 많습니다. 특히, LTV / DTI / DSR 다 비슷한 말인 것 같은데 이게 도대체 무슨 용어인가 싶을겁니다. 걱정하지마세요. 오늘 이해하기 쉽게 싹 다 정리해드립니다.

주택을 구매하기 위한 대출시 꼭 필요한 LTV, DTI ,DSR
1) LTV (Loan To Value Ration) : 주택담보대출비율
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때, 주택 담보 가치대비 대출비율을 의미합니다. 계산방법은 대출가능한금액/주택담보가치 입니다. 단!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80% 까지 가능합니다.
대출 가능한 금액은 주택담보가치 x 주택담보대출(주담대) 비율입니다. 이해하기 쉽게 예시도 하나 들어드릴께요.
ex) 지방에 위치한 집이 3억일 경우에, 70% 까지 적용되는 기준에 따라 2.1억까지 대출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. (여기서 적용되는 기준은 대출상품 또는 주택 소재 지역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꼭 확인을 해보고 정확히 계산해봐야합니다.)

2) DTI (Debt To Incom) : 총부채상환비율
여기선 연소득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. 즉, 내가 1년동안 버는 금액과 비교해서 대출을 갚을 수 있는 상환능력이 있는지를 보는 비율입니다. 계산방법은 [주택담보대출원리금(이미 빌렸거나 빌릴 예정인 대출) + 기타대출이자상환액] / 연소득] 입니다. 여기서 원리금은 (원금+이자)를 의미합니다.
ex) 제 연봉이 5천만원입니다. 매달 주택담보대출원리금(이자40만원 +원금40만원)과 신용대출이자 20만원을 냅니다. 매달 100만원이 빚을 갚는데 쓰이는 거죠. 100만원을 12개월로 나눠서 1년치를 계산하면 연간 1,200만원을 빚을 상환하는데 쓰이고 있습니다. 이 금액을 연봉 5,000만원으로 나누면 그 비율이 바로 DTI를 의미합니다.

2) DSR (Debt Service Ratio) :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
대출 받은 총금액에서 원리금(이자+원금)을 갚는 비율을 의미합니다. 계산법은 (주택담보대출원리금 + 기타대출원리금)/연소득 입니다.
[부동산 상식1] DSR 의미와 계산하는 법 계산기 활용하기 (Feat. DTI/LTV)
부동산 시장이 갈피를 못잡으면서 정부의 부동산 완화정책이 줄줄이 나오고있습니다. 대출에 대한 규제완화가 발표될때마다 나오는 용어 'DSR'입니다. 대출규제를 완화한다고해도 실질적으로 DS
jamong-daily.tistory.com
아직도 헷갈리시다구요???
아마 총부채상환비율(DTI)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(DSR)이 헷갈리실겁니다. 차이점 DSR은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이야기하는 반면에, DTI는 주택담보대출만의 원리금을 따집니다. DSR이 모든 대출 원리금을 다 따지기때문에 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.
하지만 걱정하지마세요! 요즘은 LTV, DTI ,DSR 이 모든 걸 계산해주는 계산기가 있습니다.


연소득과 해당내용만 정확히 기재한다면 손쉽게 계산해주는 계산기가 있으니 일일히 계산하려고 힘들어하지마세요 :)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전세사기 유형 예방법 정부 예방대책 정부 피해자 지원방안 (0) | 2023.05.19 |
---|---|
[부동산 상식1] DSR 의미와 계산하는 법 계산기 활용하기 (Feat. DTI/LTV) (0) | 2023.04.07 |
2023 역세권청년주택 민간/공공임대부문 신청방법 및 지원조건 (0) | 2023.04.05 |
전세피해확인서 발급방법 긴급주거지원 신청조건 혜택 구비서류 (0) | 2023.04.03 |